전 홍 준 의학박사

생태학자들의 관찰에 의하면 야생동물에게는 어려운 질병이 거의 없다는 것이다.

이 자연계에는 사람과 사람이 기르는 동물에게만 만성질환과 난치성 질환이 많이 있는데, 사람들이 자연의 질서에서 가장 많이 벗어나 있기 때문이다.

생태관리학을 살펴보면 야생동물에게 생긴 질환이라 해도 사람들이 오염시킨 환경이 원인이 되어 생긴 중금속이나 화학물질의 중독, 기생충 감염, 몇 가지 세균성 질환을 제외하면 만성적 질환은 거의 없다.

사람들에게 흔한 고혈압, 당뇨, 심장병, 암, 비만 같은 병이 없으며, 관절염이나 중풍에 걸려 절룩거리고 다니는 야생동물은 볼 수 없다.

지금 우리나라에는 고혈압 환자가 약1,000만 명, 고지혈증 환자가 700만 명, 당뇨병 환자가 500만 명, 수백만 명의 비만 환자가 있고, 성인 3명 중 1명이 암에 걸리고 있다.

그래서 우리 사회를 마치 난치병 환자의 대량생산 공장과 같다고 표현하는 사람들도 있다.

야생동물들에게는 병이 거의 없는데 왜 사람들에게만 이처럼 병이 많을까?

야생돌물들은 자연의 질서에 순응하며 살고 사람들은 거스르며 살기 때문이다.

우리가 산에 가 보면 낮에는 새가 날아다니고 동물들이 뛰어놀지만 날이 저물어 밤이 되면 산속은 조용하기 이를 데 없다.

야행성 동물을 제외하고는 모두 온전히 휴식을 취한다.

그런데 사람들은 낮에는 바빠서 운동할 겨를이 없고, 밤에도 온전히 쉬지를 못한다.

게다가 밤늦게까지 음식을 먹거나 활동을 하고, 특히 온갖 생각과 번민 때문에 마음이 편히 쉬지를 못한다.

밤에 충분한 휴식을 취하지 못하기 때문에 교감신경이 흥분하고 스트레스 호르몬이 과다 분비되어 혈액이 오염된다.

야생동물들은 조물주가 지정해 놓은 음식물만 먹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자연사박물관에 가 보면 소, 말, 코끼리와 같은 포식동물은 그 이빨이 풀을 먹도록 맷돌처럼 생겼고, 호랑이나 사자처럼 육식동물의 이빨은 고기를 먹도록 갈고리처럼 생겼다.

이들의 창자 구조와 기능도 서로 다르다.

그래서 그들은 굶어 죽을지언정 절대 다른 것은 먹지 않는다.

사람들의 치아 구조는 주로 곡식과 채소, 그리고 과일을 먹도록 만들어져 있다.

오늘날 사람들에게서 생기는 많은 난치병은 동물성 식품, 화학식품의 과식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계속

저작권자 © 우리군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