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보배 사장·편집인

핵발전소가 건설되기 시작한 것은 1950년대이다.

1954년 구소련에서 세계 최초로 핵발전소가 세워졌고, 이 후에 미국이나 유럽, 일본 등에서 뒤를 이었다.

우리나라는 1970년 9월 착공해 1978년 4월에 고리 1호기가 상업운전을 시작해 현재 23기의 핵발전소가 운영중이다.

지금 전 세계에서 운영하고 있는 핵발전소는 442개 정도이다.

핵발전소의 수명은 평균 30~40년으로 설계됐지만, 설계수명이 다 한 원전은 대부분 정비보강을 거친 후 재가동 하는 추세이다.

원전건설의 어려움과 건설비용이 문제이기도 하지만 수명이 다한 원전을 폐로 하는데 드는 비용이 천문학적이기 때문이다.

지금 수명이 다한 100여개의 원전 중, 완전한 폐로를 마친 원전은 두 개 정도에 불과하고 대부분의 원전은 폐로를 완료하지 못하고 있다.

핵발전소에서 얻어지는 전기는 현대 사회에서 필수적이라는데 설명의 필요성도 없겠지만, 원전의 가동은 양날의 검과 같은 존재임이 분명하다.

수명이 다한 원전을 원래의 토지로 회복시키는데 엄청난 기술과 천문학적인 비용, 적지 않은 시간이 필요하다.

그럼 전기를 만들기 위해 핵발전소의 연료로 사용하는 핵연료는 어떤가.

우라늄원석을 가공해 핵연료로 만들고 이 핵연료가 원자로에서 핵분열을 하고, 이 때 발생하는 열이 증기로 변해 터빈을 돌려 전기를 생산하는 방식이 핵발전소이다.

핵연료봉의 평균수명은 약 3년인데, 3년의 수명이 지난 이 핵연료는 고준위 핵폐기물로 분류 돼 보관되고 있다.

문제는 3년이 지난 핵연료가 전기를 생산할 정도의 핵분열은 아니지만 엄청난 고농축 방사성물질이기 때문에 수명이 다하고서도 5년여 수조에 보관하며 열을 식혀야 하고, 이후 건식보관 방법으로 보관하고 있다.

이 핵연료인 고준위 방사성폐기물이 우라늄 원석처럼 원래의 상태로 돌아가기 위해서 필요한 시간이 10만년이 걸린다.

아직까지 이 고준위 방사성폐기물을 완벽하게 처분하고 있는 나라는 전 세계 어디에도 없다.

핀란드나 스웨덴 정도가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계획을 완료하고 계획을 추진 중인 것으로 알려졌지만 핀란드는 핵발전소가 고작 2개인 나라로 알려져 있다.

핀란드는 지하 500m아래에 동굴형식으로 운영할 계획이다.

독일의 경우 후쿠시마 사고 이후 핵발전소 운영을 포기한다고 선언하고선 기존 원전 방폐물 처리에 신경을 쏟고 있다.

소금광산을 방폐장으로 바꾼 작센 주 아세 방폐장 차수벽에 2011년 미세한 균열이 발생해 방사성 물질이 누출돼 보관 중이던 폐기물 12만 6000드럼을 옮겨야 했다.

비용만 5조원 이상이 들 전망이다.

핵연료인 고준위 폐기물은 1000년도 아니고 무려 10만년 동안 완벽한 격리를 필요로 하는데 안전을 보장하기 매우 어려운 시설임에 분명하다.

우리나라의 핵폐기물 관리 실태는 어떤가. 현재 우리나라는 원전 안 수조 등에 수명이 다한 핵연료를 보관하고 있다.

10만년의 처리기간이 필요한 고준위 핵폐기물 처분장의 공론화문제는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정부가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관리 계획을 세우기 위해 국민의 의견을 수렴하겠다면서 공청회를 지난 17일 서울 서초동 더케이호텔에서 열었다.

공청회 개최에 반대하는 원전 인근 주민들과 반핵단체 회원들에 의해 공청회는 파행됐다.

산업부는 앞으로 지역 설명회 등을 통해 주민들의 의견을 수렴하겠다는 입장이다.

원자력발전소의 평균수명이 40년인데 반해 핵폐기물의 관리계획은 신중에 또 신중을 기해야 한다.

원전당국은 형식적인 의견수렴을 거치면서 일부의 의견이 마치 지역민 전체의 의견인양 몰아가서는 안 된다.

중·저준위 방폐장 문제에서 보았듯이 충분한 시간을 갖고 주민들과 투명하게 소통해야 한다.

주민들의 의견이 어떤 것인지, 바람은 무엇인지 또, 정부의 입장은 무엇인지 숨김없이 소통할수 있는 시간이 필요하다.

고준위 폐기장이 10만년을 견뎌야 한다면 부지조성을 위한 토론의 시간도 그에 맞는 충분한 시간이 필요하다는 주민들의 주장은 설득력이 있다.

지금처럼 일방적인 공청회 개최 등은 고준위 핵폐기장 관리계획에 부담만 가중 시킬 뿐이다.

저작권자 © 우리군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